정리-군사

기동

서서담 2023. 12. 25.
728x90
반응형

기동

기동이란 용어는 영어의 기동(Maneuver), 기동성(Mobility), 이동(Movement)란 용어들로 혼용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전쟁원칙의 하나인 기동이 1921년부터 Movement로 사용되다가 1936년에 Mobility로 사용되었고, 1949년 이후는 Manueuver로 쓰이고 있다.

 

군사적 용어로서 의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동(Movement): 단순히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옮김

 

기동성(Mobility): 군부대가 고유의 임무를 완수할 능력을 유지한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능력 또는 특성

 

기동(Maneuver): 통상 적에 대하여 유리한 위치를 확보 또는 유지하기 위한 부대이동을 의미

 

 

기동의 종류

기동은 전략적 기동, 작전적 기동, 전술적 기동으로 나눌 수 있다.

 

전략적 기동: 작전지역으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

전술적 기동: 전장의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신속히 이동할 수 있는 능력

 

작전적 기동은 대부대의 기동을 의미하나 전술적 기동은 화력의 집중을 뜻하며, 작전적 기동이 군단 및 독립사단을 기본단위로 운용하나 전술적 기동은 사단이하 제대에서 실시된다. 또한 작전적 기동은 미래의 행동에 영향을 행사하려는 목적에서 운용되나 전술적 기동은 적부대를 직접 격파할 수 있는 지점으로 전투력을 배치하기 위해서 주로 실시된다.

 

따라서 작전적 기동은 전략적 기동과 전술적 기동의 중간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어떠한 기동이던  기동의 목표는 적을 약한 부분에 아군의 강점을 집중시킴으로써 적 방어의 파괴를 촉진시키는 상호 중복적 부분이 존재하며 맥락을 같이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기동의 효과

전장에서 기동의 효과는 물리적, 심리적으로 양면에서 나타난다.

 

물리적으로는 적을 불필요하게 집중 혹은 광범위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적 행동의 자유를 탈취하여 아군의 주도권 장악 및 행동의 자유를 보장한다. 또한 취약점을 감소시켜 아측의 인원 및 물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전과를 확대하여 적을 물리적으로 파괴시킨다.

 

더욱이 중요한 것은 기동이 심리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실시된다는 것이다.

 

심리적으로는 두려움과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 지휘통신의 통제불능 등으로 적의 전의를 상실시키고 사고의 자유를 탈취시켜 마비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는 아군의 전투 상승요소로 가장 크게 작용하여 사기를 양양시킨다.

 

따라서 성공적인 기동은 물리적, 심리적 양면의 전략적 효과를 창출하여 결과적으로는 전쟁양상을 승리로 이끌게 한다.

 

 

기동과 화력

화력은 투입되지 않는 적부대를 격멸, 지연 또는 와해시키기 위하여 기동과 별개로 운용될 수도 있으나 기동은 적 행동의 자유를 제한하고 적의 반응 및 집중을 유인하여 노출을 강요시킴으로 화력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리서 어떤 경우이든 화력이 결여되면 기동은 거의 불가능하다. 작전적 기동은 적 주요부대 및 시설들을 파괴하고 적의 이동을 지연시켜, 적 지휘통제를 와해하고 적 포병, 방공, 항공지원 능력을 약화시키는 화력이 필요하며 전술적 기동에서는 제압사격이 요구될 것이다.

 

 

기동전(Maneuver Warfare)

미군의 정의를 던저 살펴보면 "기동전이라 함은 아 사격과 기동 (fire and maneuver), 지형을 이용하여 주도권을 확보하고자 하는 이동전"이라고 하였다. 한마디로 "기동전은 전투보다 기동으로 승리하는 전쟁"이라고 앙드레 보프르 장군의 설명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기동전은 "기동이 결정적으로 승패를 좌우하는 전쟁,즉 적의 장비 및 인원과 직접적으로 부딪혀서 화력을 교환하는 전투보다는 그 이전에 이러한 전투상황을 유리하게 이끌어 내기 위하여 기동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전쟁"을 말한다. 기동전에서 화력은 기동을 촉진시키는 수단으로 이용되어야 한다. 즉 적의 인원 및 장비를 섬멸시켜 적의 의지를 박탈하게 하는 클라우제비츠의 절대전 개념의 화력운용이 아니라 사격과 기동(fire and maneuver)의 개념으로 적을 고착시켜 아군외 전투부대가 행동의 자유를 획득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지휘관의 의도에 따라 기동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적을 제압할 수 있도록 운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동전은 소모전을 초래하는 선형전쟁에 반대되는 전투형태로 기동전이란 기동마비전으로도 표현된다. 단순히 '적의 전투력을 소모시키기 위해 기동력, 화력, 지형의 이점을 이용하고 기선을 획득하여 이를 계속 유지하도록 부대를 신속히 이동시키는 전투'가 아니라 '적의 작전상 결정적 취약점에 작전목표를 두고 간접 대응방법으로 적의 전투의지를 말살시키는 전투이다


출처 및 참고

한국군 기동전 발전방향 연구

미래전에서 육군항공 기동전 수행개념에 관한 연구

기동전이란 무엇인가

외 다수

https://www.nanet.go.kr/main.do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