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도 쓸모없는 밀리터리 잡지식 코너
K200 장갑차
K200 장갑차는 일반적으로 5083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한 장갑차로 알려져 있지만, 강 장갑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한국형 장갑차에 대한 당초 군의 요구조건은 크게 기동력(綽鋤力), 방호력 帖護 力), 화력(火力) 부문으로 대별할 수 있는 바, 그 가운데 방호력 측면에서 약간의 논의할 사항이 노출되었다. 국방과학연구소에서는 당초 군의 요구를 상회해서 장갑차 측면에 유격장갑판재(螂柄裝甲本磁)의 부착을 요구했던 것이다. 당초 군에서 요구한 방호력의 수준은 소화기 정도의 화력으로부터의 방호력이었다.
그러나 국방과학연구소의 연구개발팀들은 장비는 물론 적의 기관총과 같은 화력으로부터 인명을 방호하기 위하여 유격장갑판재의 부착을 별도로 주문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전시회장에서 장갑차 측면에 판재를 자유롭게 부착했다 떼었다 함으로써 전시회장에 온 각 계층의 사용자들이 판재를 부착한 장갑차와 그렇지 않은 장갑차를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85p
~국방과학연구소와 대우중공업이 특별히 집중적으로 연구 및 기술개발에 몰입한 분야는 동력체계 , 토숀바, 그리고 고경도 유격 장갑판재(HHA) 및 알루미늄 동체 용접 , 기타 시제 부풍들이었다.~ 96p
~유격장갑판재
최초의 ROC에는 장갑차의 전면과 후면에는 유격장갑판재의 부착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국방과학연구소의 연구개발 과정에서 방호 증강 차원에서 양측면에도 유격장갑판재를 부착하는 방안이 연구, 검토된 것이다. 그리하여 실물모형 전시회 때에는 군의 ROC대로 양측면에 유격장갑판재가 탈착된 상태로 전시를 하되 , 사용자들에게 설명을 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유격장갑판재를 부착했다가 탈착시키곤 하였다.
오늘날처럼 양측면에 유격장갑판개가 부착된 상태로 무기채택이 된 것은 그로부터 수년 후이다.
유격장갑판재용 고경도 장갑판재는 EBR(Eletric Slag Remelting)공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군사규격 (MTL-A-46173)을 만족시키기 위해 1978년도에 이미 일반제강 방법에 의한 6614CM 장륜형 장갑차 동체용 고경도 장갑판재 연구개발 경험을 보유하고 있었다 .~ 114p
대우중공업
<우리가 만든 장갑차 개발에서 수출까지>
~국내에서 강 장갑은 국방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포항공대를 포함한 산학연 연구로 우리나라 최초 장갑차에 적용된 HHA와 RHA(균질압연강재)를 포함한 표면에 강도가 높은 HHA를 댄 유격장갑이 해당되고, 특수 장갑 키트(SAP)형태로 적용된 K1전차의 장갑에도 강 장갑이 포함되어 있는데, 동일한 관통자에 대해 장갑재의 성질로서 장갑성능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는 강 장갑은 오스테나이트화후 뜨임온도가 낮을수록 탄도성능은 좋으며 450℃ 뜨임(RHA)을 권장한다.~
초 고경도 장갑용 강의 탄도 성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
K1A1은 당연하게도 장갑판재로 알루미늄을 일부 사용한다.
출처
http://www.koralco.co.kr/product.htm
https://www.reseat.or.kr/portal/bbs/B0000261/view.do?nttId=224682&menuNo=200019&pageIndex=174
대우중공업 <우리가 만든 장갑차 개발에서 수출까지>
ㄴ필요시 파일 제공(91.4MB)
'잡담-군사 > 알쓸밀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쓸밀잡)10. 스탠다드 미사일의 생김새 (0) | 2025.01.28 |
---|---|
(알쓸밀잡)9. K808 차륜형장갑차 & T-14 (0) | 2025.01.27 |
(알쓸밀잡)7. 에이브 연료통 상한거자나 (0) | 2025.01.25 |
(알쓸밀잡)5. K1 포방패 (0) | 2025.01.25 |
(알쓸밀잡)4. 레오파드 2 전차의 탄약 보급 해치 (0) | 2025.01.25 |
(알쓸밀잡)3. 알타이 전차 구조물에 대한 오해? (1) | 2024.06.11 |
(알쓸밀잡)2 (0) | 2024.05.23 |
(알쓸밀잡)1. 은근 이어지는 설계형태 (0) | 2024.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