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M-6와 SM-3는 공통적으로 SM-2 er blk4를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외견상 중앙날개를 제외하곤 크게 구분점을 찾을 수 없다.(슴육의 중앙날개가 조금 더 아래에 위치한다.) 중량 및 체적도 동급이다. 하지만 SM-3는 SM-6보다 압도적인 최대 사거리 및 운용고도를 가진다. 간단한 물리상식으로 알 수 있듯 위치E를 올릴려면 운동E를 많이 사용해야 한다.
왜 이런차이가 발생하는것인가?



두 미사일 공통적인 추가부스터를 장착하고 있다. mk72라는 부스터로 이 물건은 vls에 탑재하기엔 너무 길어서 사라진 sm2의 er형식을 되살리게 된 물건이다.
mk72부스터는 4개의 노즐로 추력의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이중펄스가 적용되어 있으며 700kg정도로 두 미사일의 본체만큼이나 무겁다. 부스팅이 종료되면 mk72부스터는 분리된다.
https://seaseadam.tistory.com/56

그 후에는 DTRM이라는 이중추력 로켓모터를 또 공유한다. 이 로켓모터는 sm-2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이 이후부터가 차이인데
●SM-6는 이 DTRM의 연소 중이거나 마치더라도 미사일의 요격까지 조종날개의 조향과 함께 이어가며, 목표에 도달 및 종료된다
●SM-3는 이 DTRM의 연소를 마치고 mk72부스터와 같이 분리해 버린다.



DTRM의 분리가 끝나면 TSRM이라는 3번째 단계의 로켓모터를 가동한다. 이 부분은 SM-2/SM-6 라면 파편탄두로 채워져 있어야 하는 구획이나, SM-3는 고속으로 직격해 맞추는 Hit-To-Kill 방식의 직격요격체(KV:Kill Vehicle)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두를 실을 이유가 없다
이 로켓모터는 이중펄스가 적용되어 있으며, 하단에 자세제어를 할 수 있는 CGACS(Cold Gas Attitude Control System) 측추력기가 달려있다. TSRM 추진중 전방의 노즈콘이 분리가 되어 적외선 탐색기가 표적을 탐색하기 시작한다


Kinetic Warhead
(기존의 레이더 유도구획)
TSRM의 추진이 끝났다면 TSRM또한 이전단계와 마찬가지로 분리가 가능하며, Kinetic Warhead(KW), 즉 운동에너지 탄두는 이전까지의 관성을 통해 나아가며, SDACS의 측추력 자세제어를 통해 목표에 도달 및 종료된다.

위 사진과 영상이 아까까지 설명했던 Sm-3의 과정들이다. 위 과정의 KW를 보고 https://www.jhuapl.edu/content/techdigest/pdf/V22-N03/22-03-Sullins.pdf에서는 미사일 안의 미사일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며, 전체적인 단분리 및 KW의 목표도달까지 과정을 위성을 올리는 로켓에 비유하는 이들도 다수 존재한다.
특이점 및 마무리

SM-3의 KW는 다른 ABM과 비교하더라도 작고 제대로 된 보호창이 없다.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사드나 L-sam의 경우 경사로 이루어진 광학창을 지속적으로 냉각시킨다.)
이는 최소 운용고도를 일부 포기하고라도 고도 및 사거리를 위해 에너지를 확보, 로켓추진에 더 비중을 둔것이다. 실제로 SM-3가 운용되는 최소운용고도는 사드의 최대운용고도와 걸쳐있으며, 공기가 희박해 센서를 가릴것이 없다.
SM-3의 에너지 퍼포먼스는 실제로 동 체급의 SM-6보다 뛰어나지만, 최소운용고도에 큰 제한이 있는 편이며 대탄도에만 사용이 가능한 반면, SM-6는 대항공/대미사일/제한적 대탄도/대함 등 다용도 함대공 미사일로 범용성이 뛰어나다.
사실 알 사람은 다 아는 얘기를 거창하게 설명한거 같은 느낌은 든다만... 그래도 정리해 놓는게 좋겠지.
다음 글
https://blog.naver.com/seaseadam/222830095788
SM-6 미사일은 왜 높은 고도의 탄도탄 요격에 불리한가?
이전 글 https://blog.naver.com/seaseadam/222701188812 SM-6는 어떠한 미사일인가? SM-6 미사일은 S......
blog.naver.com
출처
Janes 유튜브
레이시온 유튜브
https://www.jhuapl.edu/content/techdigest/pdf/V22-N03/22-03-Sullins.pdf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07/test/Houchins_SessionD3.pdf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1/PEO/DeSimone.pd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51603&cid=40942&categoryId=32284
대기권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대기의 층. 높이에 따른 온도 분포에 따라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으로 나눈다. 대기권의 높이는 약 1,000km가 되지만 전체 공기의 99%는 중력작용에 의해 지상 약 32km...
terms.naver.com
http://newsimpact.co.kr/View.aspx?No=1665744
함대공미사일로 MADEX 빛낸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 - 뉴스임팩트
[뉴스임팩트=이상우기자]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가 탄도 미사일 방어 함대공미사일을 앞세워 국제 해양 방위산업전(MADEX 2021)을 빛냈다. 뉴스임팩트는 지난 9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의 MADEX 2021...
newsimpact.co.kr
'정리-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숨이 막히는 PCC 침실 (0) | 2023.03.19 |
---|---|
수명주기비용 (0) | 2023.03.17 |
해궁 및 동급 미사일 비교용 (0) | 2023.03.15 |
해궁 물리적 제원 (0) | 2023.03.13 |
Mk-72 부스터 (0) | 2023.03.09 |
간단 식질 (0) | 2023.03.07 |
수직발사 유도탄의 진동시험에서 유도탄 장착방향의 영향에 대한 연구 (0) | 2023.03.05 |
K2 전차 장전기 관련 특허 (0) | 2023.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