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3 (알쓸밀잡)5. K1 포방패 알아도 쓸모없는 밀리터리 잡지식 코너아주 가끔씩인데 K1A1 포방패가 튀어나온 이유가 주포 반동(주퇴거리) 때문인지 아는 사람이 종종 있다.K1(좌)K1A1(우)실제로 K1A1의 실물을 보면 K1전차와 비교했을 때, 포방패가 심히 많이 튀어 나온 것처럼 보인다. 그렇다면 이것은 주퇴 공간을 위하여, 기존 K1 전차보다도 포의 위치를 앞으로 전진시켜 고정한 것일까?K1 포방패(좌)육군 종합정비창│극한직업 16분 51초K1A1 포방패(우)답은 '아니오'다. 그냥 두꺼운게 맞다.K2 보호판(버팀대,총포좌용)(좌)K1A1 포탑 구조 변경(우)위의 사진은 국방규격에 등록되어 있는 K2 보호판인데, K1도 그 구조는 크게 다르지 않다. 쨌든 보호판의 위치나 포의 고저 움직임을 보아도 포이축의 위치는 매우 크게 변경.. 잡담-군사/알쓸밀잡 2025. 1. 25. (알쓸밀잡)1. 은근 이어지는 설계형태 알아도 쓸모없는 밀리터리 잡지식 코너. F-5, F/A-18 F-5는 기수에 기관포 두정이 모여있는 방식이다. 이러한 기수 탑재 기관포 설계는 가까운 친척(직계는 F-20)인 F/A-18 전체 계열(레거시, 슈퍼호넷 모두)에도 적용이 되어 있다. 다른 4세대 전투기들이 동체의 측면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은 것을 생각하면 매우 희귀하다고 할 수 있을 것 이렇듯 기수에 발칸이 탑재된 호넷의 주둥이가 '길쭉해요'인건 어찌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을 것AMX-30, Leclerc, EMBTAMX-30은 프랑스 전차로 포의 장착되는 부분을 포탑의 기본구조에 두지 않는다. 또한 부무장으로 꽤나 흉악한 20mm 기관포를 동축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별도의 포 장착구조는 후속 주력전차에도 적용이 되는데, 르끌레르 전차 .. 잡담-군사/알쓸밀잡 2024. 5. 19. K2 흑표 전차 포 관련 구조물 블록,주포장치대용 >버팀대,총포좌용 - 전차 주포장치 측면에 설치, 고정되어 주포가 상하로 움직일수 있도록 하기위해 고안된 베어링 블록 형태의 부품이다. 블록,주포장치대용 >버팀대,총포좌용 회전자,주포장치대용 >좌대,포가용 - 전차 주포장치 중앙에 설치, 고정되어 주포가 상하로 움직일수 있도록 하기위해 고안된 회전축 형태의 부품이다. 보호대,주포 >버팀대,총포좌용 - 전차 외부의 피탄으로부터 주포장치를 보호하기위해 주포장치 전면에 설치, 고정하도록 고안된 보호대 형태의 부품이다. 지지대,주포보호대용 >좌대,포가용 - 전차 외부의 피탄으로부터 주포장치를 보호하기위해 주포장치 전면에 설치, 고정하도록 고안된 보호대 형태의 부품이다. 블록,트러니언용,좌측 >버팀대,총포좌용 - 전차포탑과 주포장치사이에 설치, .. 정리-군사 2024. 1.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