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
[정리-군사] - SM-3의 coverage는 어떻게 거대한가?
SM-6는 어떠한 미사일인가?
SM-6 미사일은 SM-2 대공미사일에서 발전한 미 해군의 주력 장거리 대공미사일이 될것이 분명하다. SM-6는 기존의 SM-2 미사일과 많은 부품을 공유한다. mk72 부스터는 sm-2 er blk4에서 가져왔으며 mk104 DTRM 역시 SM-2 미사일의 본체 로켓이다. 이러한 기존 부품의 공유 및 구조를 공유하는것은 시리즈 내의 가격억제에 유용하다.
(문제는 레이시온이 시발 배짱장사를 한다는 것이겠지.)
수 많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올라운더
SM-6는 뛰어난 능동탐색 능력과 함께 많은 임무를 부여받게 되었다. SM-2 ER blk4에서 처음 장착된 mk72부스터는 뛰어났지만 SM-2의 유도방식의 한계로 가지는 에너지에 비해 사거리가 짧고 시스키밍에 대응하기 힘들었다.
슴육의 제조회사인 레이시온의 말을 빌리면 SM6는 3가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능한 미사일이다.
'~대공전, 탄도미사일방어, 대수상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일한 무기입니다. 이 시스템은 해군에 제한된 함선 공간에서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하며 미국과 동맹국이 수상함의 공격 위력을 비용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AAW (Anti-Air Warfare/대공전)
ASuW (Anti-Surface Warfare)
BMD (Ballistic Missile Defence/탄도미사일방어)
LAND (Land attack/지상공격)
sm-6는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받고 있는 미군의 뛰어난 체계로 향후 지상에 대한 타격능력도 갖출 것으로 보인다. 한마디로 공/해/지에서 공/해/지로 사용이 가능한 비용을 생각하지 않는다면 어디든지 사용이 가능하다.
SM-6의 상승 한계?
SM-6의 운용고도는 110,000 ft로 대략 30 중반 km영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제어가 가능한 수준의 상승고도를 의미할 가능성이 높다.
sm-3는 고고도 탄도탄 요격 미사일로 공개된 요격스케줄을 살펴보면 대략 70~100km 정도의 최저요격고도를 제한받는다. 이건 달리 말하면 노즈콘이 개방된 상태로 볼 수 있는데, sm3는 tsrm(Third Stage Rocket Motor/3번째 로켓모터)에서 노즈콘을 분리하게 되어 있다.
mk72부스터와 dtrm(sm2와 sm3 b1,sm6 본체 로켓모터)이 올려주는 고도가 sm6 운용고도인 30km선이라면 나머지 30~500km사이의 고도를 tsrm과 dacs 기동만으로 올려야 한다는 소리가 된다. 한마디로 sm6의 최대운용제한고도는 에네지보다는 sm6의 조향특성과 관련되어 있을 확률이 높다.
SM-6와 고고도 탄도탄 요격 미사일 차이점
고고도 탄도탄 요격 미사일
고고도 탄도탄요격 미사일들의 경우 대부분 공통적인 특징들이 있다.
IR(적외선 센서)
별도의 탄두(폭약이 포함된)X
추력편향
이러한 특징들은 센서를 가볍게 하며, 공기가 희박한 고고도에서 미사일의 동적제어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공기가 없는 곳에선 날개의 각도를 통한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
그러나 단점으로 마찰열 때문에 최소요격고도를 가지게 되며, 대탄도에만 사용이 가능한 사용성의 제한이 있다.
고도에 따른 공기
일반적인 대공 미사일들은 미사일의 동적제어에 후미날개를 주력으로 사용한다. 고도에 따른 공기량 감소는 고고도에서 미사일을 제어할 방법을 잃는것이나 보통의 제거 대상은 대류권내에 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아니며, TVC(측추력기 및 제트베인 등)의 탑재여부는 대체로 순간적인 급기동(근거리 공대공, vls의 초기 자세제어)을 위해서다.
대형화된 SM-6
SM-6 b1b의 경우 본체의 로켓모터가 대형화되었다. 이는 SM-3 b2a에 사용되는 SSRM(Second Stage Rocket Motor)일 가능성이 높으며, SCS의 제어핀도 작은 모습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제어핀이 작아졌다 하여 모 잡지처럼 SM-3와 같은 고고도 요격용이라는 얘기는 근거가 부족하다.
SM-3 b2a의 본체 초기 로켓(SSRM)은 이전과 같이 4개의 접이식 핀에 의한 제어방식이며, mk72 부스터나 TSRM에서 언급되는 추력편향에 관련된 이야기가 없다. 게다가 대형화 된 로켓모터를 장착한 SM-6이미지의 경우 대 지상용이나 대공용으로 위치하고 있어 이는 단순히 사거리를 위함이 더 커보이며, 제어핀 역시 부품 공유를 통한 가격제어를 유도한다고 보는 편이 더 맞아 보인다.
참고자료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1/PEO/DeSimone.pdf
https://ndiastorage.blob.core.usgovcloudapi.net/ndia/2015/armament/TuesdayLadner.pdf
https://www.ausa.org/sites/default/files/2017-AUSA-Redstone-Huntsville-Missile-Symposium-Slides.pdf
https://www.jhuapl.edu/content/techdigest/pdf/V22-N03/22-03-Sullins.pdf
https://www.jhuapl.edu/Content/techdigest/pdf/V22-N03/22-03-Montoya.pdf
http://alert5.com/wp-content/uploads/2019/01/sm-6-sna2019.jpeg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num=42971
https://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108&pn=1&num=207
https://togetter.com/li/900107
https://www.add.re.kr/board?menuId=MENU02648&siteId=SITE00002
'정리-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kvls와 mk41 vls의 외관상 차이 (0) | 2023.06.07 |
---|---|
KVLS 모음 (0) | 2023.06.05 |
KVLS 2 (0) | 2023.06.03 |
VLS 크기비교 그림 (0) | 2023.06.01 |
K2 흑표 해치 개선 연구 (0) | 2023.05.29 |
보라매 지상활주/최초비행/ L/G UP (0) | 2023.05.27 |
마음껏 즐기는 K2 흑표 모델링 (0) | 2023.05.25 |
개발당시 세종대왕급 CIC 모델링 (0) | 2023.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