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잡담-군사105 에이브 장갑제거 모델링 사실 10식 장갑제거한 사진도 억까가 있지 않나 싶음. 장갑 구획 다 뜯어서 예쁘기 쉬울리가 출처 https://www.dote.osd.mil/Portals/97/pub/reports/FY2019/army/2019aps.pdf?ver=2020-01-30-115323-267 잡담-군사 2024. 1. 9. 개인적인 유로사토리의 EMBT와 KF51에 대한 얘기 EMBT와 라인메탈의 KF51은 분명 진보한 전차가 맞다. 그렇다면 '기존의 전차가 범접할 수 없는 무언가인가?'하면 또 그것은 아니라고 본다. 재미있게도 두 전차는 체계운용자를 포함한 인원분배를 제외한다면 생각보다 크게 기존 주력전차에 비해 이렇다 할게 없어 보인다. eo-ccd센서 다수를 통한 360도 상황인식 시스템, lwr, 능동방호체계 등 이미 통합하거나 준비하는 전차들은 이미 많이 있다. EMBT의 동력원도 전혀 새롭지 않다. mtu-883이 들어가는 유로파워팩으로 흑표와 uae르끌레르가 탑재한 제품이며, 알타이가 고려했던 제품이다. 30mm rcws? 이걸 기존 전차에 통합하는게 그렇게 불가능한 일인가? 글쎄.. KF51의 차장석에 디스플레이로 개방된 시야를 제공하긴 하나, 이것이 360 상.. 잡담-군사 2024. 1. 7. K21은 오일 점검 어떻게 하나 했는데 엔진 접근판에 대충 사람 한명 정도는 올라가도 상관없나 보네 출처 https://biz.chosun.com/industry/company/2021/07/30/2XC3WPUNNVBFBJWY3I4MIMHKYY/ 방사청, K-21 보병전투차량 창정비 요소 개발 완료 방사청, K-21 보병전투차량 창정비 요소 개발 완료 biz.chosun.com 잡담-군사 2024. 1. 5. K2 PL, M 추정 전면 los 차체는 740mm 그대로 포탑은 두꺼운 1번 구획은 1135mm, 얇은 3번 구획도 1045mm로 포방패를 제외한 포탑 전면부 1m돌파할것으로 보임 [정리-군사] - (흑표시리즈)전면장갑 구조물 배치 (흑표시리즈)전면장갑 구조물 배치 1. 포방패 장갑 사진상에 나오는 흑표의 포방패장갑은 빨간선까지로 보이나 실제로는 파란선부분으로 레이저경보 센서를 잇는 케이블선 앞까지 존재한다 2. 포탑 모듈장갑 흑표의 포탑 모듈장 seaseadam.tistory.com https://blog.naver.com/yanagi0221/222759539264 K2PL 모델링 (공식)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yanagi0221/222780686508 K2M 모델링 (유도교란형 능동방호.. 잡담-군사 2024. 1. 3. LAH는 표면적으로 코브라를 대체하는게 맞긴 한데 중간에 아파치가 신규소요로 뽑히는 물건들이라 체감상은 이거란 말이지 ㄹㅇ 요구되는 역할이나 수량으로 볼때 잡담-군사 2024. 1. 1. 세종급 마스트 tmi 정조대왕급 마스트가 아타고/마야급처럼 좌우측 지지대가 없어서 연돌과 마찬가지로 좀 더 저피탐에 신경을 썼다는 얘기가 많다 근데 세종급도 실제로는 달고 나왔지만 모형과 모델링상에선 마스트 양측에 지지대가 없었다 뭐 그냥 그렇다는 이야기 잡담-군사 2023. 12. 31. 대체 뭘 보고 전차의 시대가 끝났다는걸까 재블린이 현 시점에서 러시아 전차를 파괴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건 틀림없는 사실이다. 재블린과 같은 3세대 F&F방식의 미사일들은 레이저 조준이 아닌 적외선 탐지방식이라 전차가 조준된 사실도 알기 어렵다.그렇다면 전차는 대전차화기 운용병에 무력한것인가? 앞으로의 전쟁에서도 전차는 무력한가? 대규모 기갑웨이브는 기대할 수 없는가? 난 그렇지 않다고 본다. 대전차 미사일을 쏘기 위해선 전차의 CPS와 GPS의 탐색거리 내로 진입해야 한다. 그만큼 운용병 입장에선 위험부담은 크다. F&F방식의 유도과정의 우수성이나 탑어택의 파괴력을 논하기전에 적의 탐지거리내 접근 자체가 굉장히 큰 부담감으로 다가오며 자살행위에 가깝다는것이다. 현재 전쟁의 재블린의 압도적인 전과는 재블린의 우수성도 있겠지만, 전장의 .. 잡담-군사 2023. 12. 1. 이전 1 ··· 12 13 14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