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료량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296L로 K1 대비 100L 많은 연료탑재
파워팩
흑표는 1차 양산분과 2차 양산분에 다른 파워팩을 탑재한다
1차 mtu883엔진 + 렝크 hswl295



2차 dv27k + 렝크 hswl295 (혼합파워팩)

2차 양산분은 국산엔진인 dv27k가 적용되며 냉각장치도 국산으로 변경되었다
(냉각장치는 현대로템에서 담당)
국방홍보원 피셜로 독일파워팩은 9억, 혼합파워팩은 6억이라고 하며 a/s 문제에 신속하다고 전한다
배기구



엔진에 연결되는 배기구로 소음감소 기술 예정
현수장치
궤도형 전투차량의 궤도박리 발생 및 성장모드 예측에 관한 연구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733237835611.pdf

궤도차량의 동적 궤도장력 조절시스템의 실험적 평가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CFKO200333239349515.pdf
궤도차량의 동적 궤도장력 조절시스템을 위한 유압시스템의 동적 모델링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NPAP08026241
궤도차량의 동적 궤도장력 조절시스템 개발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200111920908908&dbt=NART
궤도전투차량의 비례감압형 동적궤도장력조절장치
궤도전투차량의 하중보상형 동적궤도장력조절장치
KIPRIS 특허정보검색서비스 특허무료검색서비스
최근 검색한 5개의 키워드입니다. 삭제...
www.kipris.or.kr



동적 궤도장력 조절기(DTTS)
궤도전투차량은 성능이 날로 향상되고 있으며 그 개발의 방향도 점차 일반적인 차량과 유사한 영상을 띠고 있다.
야지에서 주로 운용되는 궤도전투차량의 주행안전성을 위해서는 일정수준 이상의 궤도장력이 유지되어야 하며 장력의 크기가 차량의 연비뿐만 아니라 현수장치 부품들의 내수 수명과 깊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주행조건에 맞는 적정수준의 장력이 필요하다.따라서, 궤도전투차량의 궤도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전투 차량은 험지, 습지, 절개지등에서도 기동성을 유지하도록 이동수단으로서 이동수단으로서 무한궤도 (caterpillar)를 채용하는 경우가 많다. 궤도형 전투차량은 평지, 야지 경사로등 다양한 주행조건에서 노면상태와 무관하게 궤도가 차체에 견작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수준 이상의 궤도장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흑표는 세계 최초로 동적 궤도장력 조절기를 탑재한 기갑체계로 기존 구리스 등을 채워넣어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 조절기를 대체했다. 실시간으로 궤도에 전해져 오는 압력에 맞춰 장력을 키우거나 줄일 수 있다.
장력조절기는 유동륜에 연결되어 장착되며, 동적장력조절기를 탑재한 흑표는 궤도조립체의 탈선은 다른 기갑체계에 비해서 훨씬 적을것이라고 한다
현수 제어장치


흑표의 현수제어장치는 조종수 공간 뒤에 위치하며 차량통제 시스템에 의해 통제된다. 흑표의 전후좌우/상하 자세제어는 현수제어장치의 통제에 움직인다

ISU (in-arm suspension unit)
흑표의 서스펜션은 반능동 ISU 블록으로 구성된다.




유기압 현수장치의 반능동 제어 구현에 관한 연구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311921987728.pdf

토션바에 비해 차체 내부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으며, 기존 K1,K9에 탑재되던 HSU방식보다도 공간/중량에서 낫다고 한다
'정리-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60, M1, K1 (0) | 2023.02.14 |
---|---|
K1 장갑구획 tmi (0) | 2023.02.13 |
그냥 보는 포방패 모델링과 실물 (0) | 2023.02.12 |
LSAS(주변상황인식체계) (0) | 2023.02.11 |
유기압현수장치 내구도 향상을 위한 주피스톤 형상에 관한 연구 (0) | 2023.02.09 |
K2 현수장치 관련연구 (0) | 2023.02.08 |
K1 현수장치 개선 연구 (0) | 2023.02.07 |
흑표 수출 파생형 정리 (K2PL/M/NO) (0) | 2023.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