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군사

변경된 K9A2 내부 형태를 알아볼 몇가지 그림

서서담 2025. 1. 31.
728x90
반응형

https://contents.premium.naver.com/jhst3103/sheldon/contents/240105002147443uj

 

K9A2 Block-I 체계개발

K9자주포 2차 성능개량(Block-I) 체계개발 사업은 기존 전력화된 K9 자주포의 신속한 타격능력이 보강되고, 송탄·장전 자동화를 통해 운용인원이 3명(포반장·사수·조종수)으로 감소하며, 원격사격

contents.premium.naver.com

사실 방사청 자료를 쓴 올해 초 Sheldon 글에서 이미 볼 사람들은 다 알텐데 추가적으로 몇개 올려봄


전체 형태

냉각공기 흐름 (Streamline)
측정 위치별 온도 분포

소화기 4개(37lb) 수정 모델 (좌)

소화약제 측정 위치 (우)

소화기 3개(30lb) 소화약제 농도확산 분포 (좌)

소화기 4개(37lb) 소화약제 농도확산 분포 (우)

자동화 시제와 다른 K9A2의 내부 형태는 위와 같다.포탄은 2개의 밴드-매거진 구조로 1개의 밴드 당 20발로  총 40발이 포탑에 탑재된다. 포탄이 양쪽에 장착되어 2개의 장전 암이 필요하던 자동화 시제와 달리 1개의 장전 암을 사용하여 포탄을 장전한다.

 

포탄

포탄 배치 위치 개략도 (좌)

무게중심 측정 포탄 형상 (우)

실제로 한쪽으로 치우친 형태로 위치한 포탄이  소모됨에 따라 무게중심이 변경된다. 이는 올해 추계 논문에도 영향력을 분석한 자료가 올라와 있다. 포탑에 적재될 탄약이 발 당 43.2 kg, 40개로 1.7t을 넘으므로 고려할만한 대상이긴 하다.

 

장약

장약적재이송장치 유한요소모델

 장약적재조립체 (좌) 장약적재구조물 (우)

장약적재조립체에 장착된 장약적재구조물 위치 정보

장약은 자동화 시제의 240U(8*6*5)와 달리 위와 같은 형태의 밴드-매거진 구조로 변경되었다. 하나의 장약적재구조물에는 7개의 단위 장약 (Unit charge) 이 일렬로 탑재된다. 포탑엔 총 210U(7*30)의 적재량을 가진다.


출처

2023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추계학술대회 : 지상무기체계 부문

육군 전투장비 냉방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02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종합학술대회 : 열·유체 부문

M&S 해석을 통한 자주포 승무원실 내부 자동 소화장치 소화약제 분사 분석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방위사업청

 

202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종합학술대회 : 구조∙기기 부문

장약적재이송장치 장약적재구조물 구조안전성 분석

한화에어로스페이스

 

202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추계학술대회 : 지상무기체계 부문

탄 적재 배치 방식에 따른 무게중심 변화 영향성 분석

한화에어로스페이스

https://www.kimst.or.kr/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www.kimst.or.kr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