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방패 장갑

사진상에 나오는 흑표의 포방패장갑은 빨간선까지로 보이나


실제로는 파란선부분으로 레이저경보 센서를 잇는 케이블선 앞까지 존재한다
2. 포탑 모듈장갑


흑표의 포탑 모듈장갑을 분리하면 오른쪽처럼 되는데, 이는 왼쪽의 빨간구역 부분이다. 포방패쪽 구조물도 분리가 되는지는 모르겠는데, 아마 신속한 교체가 되는건 짤의 부분일것
3. 차체 모듈장갑




흑표의 차체 복합재는 계단식 구조를 띠고 있는데, 2,3짤의 용접선과 1짤의 조종수석 내부 구획이 일치함을 알 수 있다
(사실 예전부터 장갑선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번에 조종수석 사진을 찾아서 확실하게 주장할 수 있다)
4. (1)포탑 장갑구획도에 대한 오해


이 그림의 전면장갑 부분엔 흑표의 전면 장갑 장착부위가 표현되있지 않아 포방패와 비슷한 두께로 보이지만


흑표의 장갑 용접부위는 이렇게 포탑을 분리할때 부착하는 4개의 볼트앞에 있어 차이가 있는 편이다
4. (2)포탑 장갑구획도에 대한 오해


이짤의 파란부분은 흑표의 겉부분 HHS(고경도 강판)이 아니라 전투실 내부에 부착되는 부분이다


대충 하얀색 조각조각 볼트로 조여진 전투실의 모든 부분


이는 NBC방호패드로 추정되는데 일단 개인적인 추측이다
조합해본 흑표 예상 전면장갑 구조물 배치


흑표의 los수치는 900mm에 근접한것으로 알려져 있고, k1의 los인 740mm를 1.1배하면 810이라 수치적으로 안맞는 것으로 보였으나 3번 부분의 포방패 근처로 올수록 줄어들어 810mm도 맞고 900mm에 가까운 수치도 맞게 된다
그래도 los수치는 반만 믿길 바란다
아카데미 도면을 기반으로 선을 그은것이기 때문이다.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www.add.re.kr
https://mmzone.co.kr/mms_tool/mt_view.php?mms_cat=%5B%EC%A0%95%EB%B3%B4%5D&mms_db_name=mmz_forum&no=332366
...
mmzone.co.kr
'정리-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우러스 계열과 옆의 천룡 공대지 미사일 (0) | 2023.01.30 |
---|---|
판재를 이용한 초고속 위협체의 방호성능에 대한 해석적 연구 (0) | 2023.01.29 |
흑표 신뢰성 개선 연구들(2개) (0) | 2023.01.28 |
관성항법장치를 이용한 K2전차 전차포 자세측정 방법 및 명중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0) | 2023.01.27 |
(흑표시리즈)능동방어체계 (0) | 2023.01.25 |
(흑표 시리즈)흑표 시제와 BH&T (0) | 2023.01.24 |
체계적인 헬리콥터 내추락성 설계개념 연구 (0) | 2023.01.23 |
기동헬기와 공격헬기의 지표들 (0) | 2023.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