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131 전차의 측면도로 알아보는 K1,90식 토션바와 유기압 현수장치 현대의 전차의 현수장치는 메르카바처럼 크리스티 현가장치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토션바 형식과 유기압 현수장치가 양분하고 있다. 토션바 현가장치는 암(Arm)에 연결된 바의 비틀림 강성을 이용해 중량을 지탱하는데, 이에 따라 차량에 바가 삽입되고, 물리적으로 교차로 삽입된다. 그래서 토션바는 차량의 좌우 암의 위치가 비대칭일 수 밖에 없다. K1과 90식은 토션바와 유기압 현수장치를 같이 사용하는 복합현수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위와 같이 측면도상에 보기륜이 표시되는 경우, 그 보기륜이 연결된 암이 토션바로 구성된 현수장치임을 알 수 있다. 가끔씩 어디가 토션바인지 헷갈린다면 써먹기 좋은 방법 여담 토션바라고 항상 측면도에 표현해주지는 않는다. 이런거나 아리에테도 토션바지만 표현이 안되있음 출처 https://.. 정리-군사 2023. 7. 11. K2와 K1 현수 장치 성능 간단 비교 유닛 중량 K1 HSU - 290kg K2 ISU - 230kg 최대하중 능력 K1 HSU - 20t K2 ISU - 25t 야지주행능력 향상 K1 HSU - 40km/h K2 ISU - 50km/h 잡소리 K2 흑표 전차의 현수 장치는 암 내장형 현수 장치(ISU/In-arm Suspension Unit)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로드암과 하우징 본체가 분리된 HSU보다 중량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K2는 K1과 시대 차이에 따른 기술적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데, K2의 ISU가 K1의 HSU보다 가벼운 것은 구조적 차이라면, 서스펜션 유닛 당 최대하중 증가는 기술적 진보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나 싶다. 야지주행능력은 단순히 현수장치의 발달로만 보기는 어렵고, 동력장치의 개선(1200.. 정리-군사 2023. 6. 15. 전차 포탑 승무원실의 내부 열/유동장에 관한 수치적 연구 다양한 전장 환경에서 전차(battle tank)의 운용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발단계에서 극한(extreme)환경요구조건을 만족시켜야 하며 이 중에는 40℃ 이상의 고온의 환경조건도 포함된다. 이러한 고온 외기 조건에서 발생하는 전차 승무원실의 온도 상승은 열에 민감한 장비들의 오동작과 전투원의 전투력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미래의 각종 전자전에 대응하기 위해 미래형 전차의 승무원실에는 과거보다 많은 전자 장비들이 탑재되는데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열 또한 전차 승무원실의 온도 상승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시스템 운용 측면에서 사용 가능한 냉방 용량(cooling capacity)은 제한적이어서 전투원이 전투의욕을 상실하지 않도록 적정 쾌적성을 유지함과 아울러 전차 승무원실의 전장품들의 온도 상.. 정리-군사 2023. 5. 15. 전차 시뮬레이터 전차 전술모의훈련 시뮬레이터(TMPS : Tank Multi Purpose Simulator)는 조종수, 사수, 탄약수의 승조원의 각개 훈련과 탑승자 전체의 통합 훈련이 가능한 종합 훈련 시스템이다. 실제와 유사한 전투환경에서 조종, 사격, 전술 훈련과 같은 다양한 훈련기능을 제공한다고 함. 시뮬레이터의 하부에는 6개의 구동축이 있어 상황에 따라 탱크 동역학 해석에 따른 전차 승차감을 실제와 유사하게 체감할 수 있게 해주며, 전방에 3분할로 이루어진 모니터가 있어 넓은 시야각을 제공한다. 다만 몇몇 사용자에게 좋지못한 평가를 받기도.. 내부는 K1실차의 구성과 동일하며, 내부 부품의 위치와 역할을 익히기에 좋다 단차단위가 아닌 조종수만을 위한 시뮬레이터도 존재한다. 모니터링 시스템 훈련상황 관찰 및 돌발.. 정리-군사 2023. 5. 15. 전차 개발자들이 생각하는 성능개량 우선도 전차 개발 경험자 30명을 대상 [전차 개발 경험자는 기존 K1계열 및 K2전차 개발에 직접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 중인 경력 5년 이상인 사람들로 설정] 이라고 한다. 각 전차의 우선 성능개량 필요성은 K1은 105mm 관통 향상, K2 흑표의 경우 포수조준경과 관성항법장치 실제로 K1은 K274N, K2도 3차 양산분은 조준경 성능개선이 있었으니 꽤 비교해볼만한 느낌 다만 에어컨이나 360도 상황인식 장치같은 사용자 편의에 대한 부분은 점수가 낮은데 이는 실 운용자나 획득관리자(군, 방사청)가 아닌 개발자들이 생각하는 우선도이기 때문이라고 함. 어쨌든 대략적인 개발자들의 우선도를 어느 정도 짐작해보기에 재밌는 자료같음. 출처 AHP와 평점법 및 TOPSIS를 활용한 K계열 전차 성능개량 우선순위에.. 정리-군사 2023. 5. 15. 장애물개척전차 내부 모델링 근거 •차체 전방 연막탄 발사기 •높은 조종수 공간 •차체 측면해치 •조종수 화면 전시기 또 차체의 연막탄 발사기 위치는 구난전차의 위치이나, 이것이 장애물개척전차의 모델링인 이유는 화면전시기 때문이다. 구난전차는 저런 핸들 위의 K2조종석과 유사한 전시기가 없다. 첫 이미지는 개발중 모델링으로 발사기 위치 등 일부분 다를 수 있다 출처 및 참고 https://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4&pn=9&num=157300 제4회 과학화 전투 경연대회에 다녀 왔습니다. bemil.chosun.com https://kookbang.dema.mil.kr/newsWeb/20180219/1/BBSMSTR_000000010023/view.do [육군5.. 정리-군사 2023. 2. 16. M60, M1, K1 출처 경험을 통해 조명해본 한국형 전차 보완•발전방향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99041548003193.pdf 정리-군사 2023. 2. 14.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